2024 닭고기 육계 관련주 | 대장주 및 테마주 한눈에 보기


1. 닭고기 육계 관련주 이슈 원인

최근 한국산 삼계탕이 유럽연합(EU) 시장에 처음으로 수출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닭고기 육계 관련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는 1996년 시작된 EU와의 검역위생 협상이 결실을 맺은 결과로, 연간 약 2000만 달러(약 272억 원) 규모의 수출 증가가 기대됩니다.
또한, 일본의 오염수 방류와 한우 가격 상승 같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닭고기가 주요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으며, 여름철 복날을 중심으로 한 계절적 수요 역시 육계 시장의 성장세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 닭고기 육계 관련주, 대장주 및 테마주

(1) 마니커에프앤지 (대장주)

  • 주요 사업: 튀김류, 패티류, 구이류, 훈제류 등 다양한 육가공 제품 생산.
  • 특징: 국내외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며, 미국과 일본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도 강화 중.
  • 수혜 요인: 삼계탕의 EU 시장 진출로 인한 매출 증대와 수출 확대의 직접적인 수혜 기대.

(2) 마니커 (수혜주)

  • 주요 사업: 종계사업, 부화, 사육, 도계 및 육가공 유통 등 수직 계열화 운영.
  • 특징: 국내 닭고기 생산의 대표 기업으로,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
  • 수혜 요인: 여름철 닭고기 수요 증가와 EU 수출 확대의 간접적 수혜.

(3) 하림 (테마주)

  • 주요 사업: 양계, 사료 제조, 부화 및 가공.
  • 특징: 종란부터 최종 가공 제품까지 통합 관리하며, 국내 육계 계열화 산업 선도.
  • 수혜 요인: 닭고기의 대체재 수요 증가와 계열화 확장으로 시장 점유율 상승.

(4) 체리부로 (테마주)

  • 주요 사업: 육계 계열화 운영, 생산부터 유통까지 통합 관리.
  • 특징: 안정적인 공급망과 다수의 종속회사 운영으로 사업 안정성 확보.
  • 수혜 요인: 닭고기 수요와 가공식품 시장 확대에 따른 매출 성장 가능성.

(5) 동우팜투테이블

  • 주요 사업: 양계, 종란, 사육, 가공 및 판매의 계열화된 사업 구조 운영.
  • 특징: 자체 브랜드 **’동우 바른닭고기’**를 통해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며 입지 강화.
  • 수혜 요인: 브랜드 신뢰도 상승과 삼계탕 수출 확대에 따른 간접적인 수혜.

(6) 팜스토리 (ASF 관련주)

  • 주요 사업: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 육가공 사업.
  • 특징: 안정적인 사료 사업 기반을 바탕으로 육계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
  • 수혜 요인: ASF 발생 시 돼지고기 대체재로 닭고기 수요가 급증할 가능성.

(7) 정다운

  • 주요 사업: 육용 오리 도축 및 가공품 판매.
  • 특징: 국내 오리 산업 대표 기업으로, 닭고기와 유사한 공급망 구조를 보유.
  • 수혜 요인: 닭고기와 유사한 대체재 효과로 인해 시장 간접적 수혜.

(8) 이지홀딩스

  • 주요 사업: 지주회사로 마니커, 팜스토리 등 다수의 자회사 보유.
  • 특징: 육가공 및 축산업 전반에서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하며 포트폴리오 다각화.
  • 수혜 요인: 자회사의 성장과 닭고기 글로벌 시장 확대로 간접적 수혜.

(9) 푸드나무

  • 주요 사업: 건강 간편식 유통 및 생산.
  • 특징: ‘랭킹닭컴’ 플랫폼을 통해 다이어트 및 피트니스 시장에서 선도적 역할 수행.
  • 수혜 요인: HMR(가정 간편식) 시장 성장과 다이어트 식품 수요 증가.

(10) 교촌에프앤비

  • 주요 사업: 교촌치킨 프랜차이즈 운영, HMR 및 소스 시장 확장.
  • 특징: 국내외에서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기반으로 활발한 해외 사업 전개.
  • 수혜 요인: 닭고기 프랜차이즈 시장 확대와 가공식품 사업 성장의 수혜.

3. 업종 동향 및 특징

(1) 수요 증가 요인

  • 계절적 소비 증가: 삼복더위가 집중되는 여름철, 닭고기 소비가 급증하는 특수성.
  • 대체재 역할 부각: ASF 및 럼피스킨병 등 돼지고기 질병 발생 시 닭고기의 대체재 효과.
  • 외부 요인: 일본 오염수 방류와 한우 가격 상승으로 닭고기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주목받음.

(2) 수익성 악화 요인

  • 공급 과잉 우려: 닭고기의 짧은 생산 주기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큼.
  • 조류인플루엔자(AI) 위험: AI 발생 시 도축량 감소와 소비 감소로 시장 타격 가능성.
  • 원재료 의존성: 배합사료의 주요 원재료를 해외 수입에 의존해, 환율과 곡물가 변동에 민감.

4. 시장 전망

(1) EU 시장 진출

삼계탕의 EU 시장 수출은 국내 육계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사례로, 연간 약 272억 원의 매출 증대가 기대됩니다. 이는 향후 추가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2) 대체재 역할 강화

ASF와 한우 가격 상승 등 외부 변수로 인해 닭고기의 대체재 역할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닭고기 시장의 안정적인 수요를 뒷받침합니다.

(3) 장기적 성장 가능성

  • 국내외 식품 안전 기준 강화와 닭고기의 브랜드화는 안정적인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프리미엄 가공식품과 HMR 제품 시장 확대는 닭고기 관련주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여줍니다.

Leave a Comment